CQRS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명령-질의 책임 분리(CQRS)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분, 읽기(질의)와 쓰기(명령) 은 다르다. 다르게 취급해야 함. 근데 왜 이렇게 해야 하나? 이전에 짧게 봤던 개념인데 여기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식 중 하나를 소개한다. 하지만 책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같은 프로세스, 같은 DB 내에서 구현하는 방식을 소개함. 거기서 테이블 정도만 달라지는 방식. 12.1 쓰기 위해 존재하는 도메인 모델 지금까지 했던, 작업단위, 애그리게이트, 이벤트 패턴등은 상태를 변경할 때 규칙 적용을 강화하기 위해 존재한다. 즉 데이터를 유연하게 쓰기 위해서 도구를 만들었던 것임. 그런데 읽기는 좀 다름 12.2 가구를 구매하지 않는 사용자 결론적으로 무엇을 해도 현실은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일관성이 없다고 함. 그래서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모든 경우를 처리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