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 shaking (1) 썸네일형 리스트형 JS. 코드 스플리팅 그리고 트리 쉐이킹 사실 이건 번들러에 대해 공부하다가 코드 스플리팅이란 걸 알게 되었는데, Live memo 프로젝트 기억이 나면서 정리가 필요할 거 같아서 작성해 본다. 먼저 간단하게 코드 스플리팅의 정의를 적고 가자. 코드 스플리팅은 말그대로 코드 분할인데 성능 개선 관련하면 나온다. 번들 코드를 분할하는 건데, 웹앱을 만들면 웹팩 같은 번들러가 코드를 번들하고, 번들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실행한다. 근데 이게 크기가 커질수록 성능이 안 좋아 지니까. 코드를 분할하는거다. 모든 코드를 한 번에 불러오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 필요한 코드만 불러오는 개념이라 한다. 기존에 import 구문을 실행코드로 내려서 사용한다 밑에처럼. 이걸 dynamic import라고 한다. import('./somthing').th.. 이전 1 다음